반응형

시사이슈 12

재무제표가 뭔지도 모른 채 기업분석을 한다고?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

기업분석을 할 때 꼭 분석해봐야 하는 재무제표! 그 안에서도 여러 가지 항목들이 있죠. 그 중에서도 특히나 눈 여겨봐야 할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에 대해서 오늘 소개를 할 거예요. 오늘 포스팅의 키워드인 재무제표! 다들 한 번씩을 들어봤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소개했던 게시물에서 재무제표를 한 번 보여드리긴 했는데요!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오늘은 그렇다면, 재무제표가 무엇을 뜻하는지 한 번 확인해볼게요!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주식 또는 취업준비를 위해 기업분석을 하시는 분이라면상기 표와 같이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과 같은 키워드를 많이 접했을텐데요.오늘은 간단하게 이 키워드 단어들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짚고 넘어갈게요.  그 전에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같은 재무 내용은 DART 전자공시시스템 홈페이지 을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상기 사진과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표시한대로, 검색하길 원하는 회사를 검색해주면 (대표적인 기업인 삼성전자를 검색해볼게요.)기본 검색기간 1년으로 이렇게 나오게 됩니다.각종 보고서가 나열되어 있을텐데, 우리는 매출액을 확인해보고 싶은거죠? " data-ke-type="h..

尹정부, 2023년부터 재건축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얼마 전 정부에서는 규제를 풀어 재건축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고 발표했죠. 건물이 너무 낡지 않아도 주차나 배수가 잘 안 돼서 생활하는게 영 불편하면 재건축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재건축은 어떻게 결정돼요? 현행 법상으로는 준공 30년이 지나야 재건축 사업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건축 사업을 진짜로 하려면 안전진단이라는 것을 반드시 통과해야 합니다. 이 안전진단은 다음으로 평가하죠. 구조안전성(50%) : 건물 기울기, 내구력, 기초침하 등 주거환경(15%) : 도시미관, 소방활동 용이성, 침수 피해 가능성, 주차환경, 일조환경 등 건축 마감 및 설비노후도(25%) : 지붕 외벽마감, 난방/급수/도시가스 노후도, 전기/통신설비 노후도 비용편익(10%) : 관리비 등 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시사이슈 2022.12.13

2023년!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예고된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최근 경제전문가들의 말에 의하면 미국에서 최근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오기 전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과거 글로벌 경기 침체 오기 전에는 항상 이 현상이 예고처럼 나타났다고 하죠. 2008년 금융위기, 코로나19 등 이러한 유명한 경기 침체가 있죠. 이러한 예상대로 경기 침체가 찾아온다면, 기축통화국인 미국은 물론 우리나라의 물가부터 금리, 고용 문제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현상인데? 미국 정부가 국채를 발행할 때 긴 기간의 금리가 짧은 기간의 금리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국채란, 정부가 투자자들한테 일정 기간 돈을 빌리면서 이만큼의 이자를 주겠다고 약속한 증서인데 투자자들은 돈을 빌려주면서 그 증서를 사는 것이죠..

시사이슈/경제 2022.12.11

흥국생명 콜옵션 포기 사태로 인한 국내 채권 신뢰도 하락

최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국내 4대 금융지주 KB, 신한, 하나, 우리금융지주의 신용부도스와프, CDS 프리미엄 평균이 75bp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말 22bp였던 것과 비교해 보면3배 넘는 상승률을 보여주죠. 여기서 잠깐 CDS 프리미엄이란?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부도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금융 파생상품 이때 채무자가 돈을 못 갚게 되고, 부도가 나면 제3의 금융회사가 채무자를 대신해 채권자에게 돈을 갚게 된다고 하죠. 한 마디로 제3의 금융회사가 채무자에게 보증을 서준다는 건데채권자는 이 대가로 제3의 금융회사에 일정한 금액을 지불한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를 CDS 프리미엄이라고 하는 거죠. 결국 이 CDS 프리미엄의 수치가 높다는 건해당 채..

시사이슈 2022.12.03

한은, 기준금리 3.0% → 3.25%로 0.25%p 인상, 내년까지 경제 한파 예상

11월 24일, 한국은행 총재는 기존 기존금리 3.0%를 3.25%로 0.25% 올리면서 2021년 8월 이후로 불과 1년 3개월만에 0.5%에서 3.25%까지 인상했습니다. 기준금리는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여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도 점차 커질 전망입니다. 1년 3개월만에 3.25%까지 올랐지만, 금리인상의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대부분이 최종금리 수준은 3.5% 이상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놓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3.5%가 바람직하다는 사람이 3명으로 가장 많았고 3.75%로 올라갈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람도 2명이었습니다. 그러나, 3.25%에서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은 한 명에 불과했습니다.

시사이슈/경제 2022.11.28

가상화폐 거래소 FTX가 파산이라고?

안녕하세요 여러분들. 지난 주말에 전 세계를 떠들석 했던 FTX 파산신청에 대한 내용을 오늘은 알아보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상기 사진의 주인공인 FTX 최고경영자 '샘뱅크먼 프리드'는 코인계의 JP 모건, 코인계의 워렌 버핏으로 불리기도 했었죠. 하지만, 이번 FTX 파산신청 사건으로 인해 프리드는 경영자 자리에서 물러나고 존 J. 레이 3세가 FTX 그룹의 CEO를 승계하여 파산 절차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사건을 알기 위해서는 샘뱅크먼 프리드가 누구인지 알아야겠죠? '샘뱅크먼 프리드'가 누군데? 샘뱅크먼 프리드는 2021년 포브스가 발표한 미국 400대 부자 순위에서 최연소이자 유일한 20대로서 32위의 순위에 오르기도 한 FTX 최고경영자입니다. 샘뱅크먼 프리드는 2017년에 알라메다 리서치라는..

시사이슈 2022.11.14

전 세계 금융시장을 공포로 몰아넣은 '리먼 브라더스' 사태 한 번에 이해하기

부동산, 주식, 코인 같은 자산 시장 거품이 이번 금리 인상을 계기로 조금씩 빠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지만, 아직은 거품이 완전히 꺼지지는 않았습니다. 또한 2020년 기준으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계속 쌓여 온 통화량으로 전 세계 자산시장이 들썩이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버블이 언제꺼질지에 대한 궁금증은 재테크를 하는 사람들 누구에게나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이쯤 되면, 과거의 버블은 어땠을까 하고 궁금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아요. 특히 가장 최근에 일어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거든요? 해서 우리 경제를 이해하는데 굉장히 중요한데 오늘은 이거를 조금 알아 볼게요. 리먼 브라더스 사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는데 다 같은 맥락에 있..

시사이슈/경제 2022.10.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