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을 할 때 꼭 분석해봐야 하는 재무제표! 그 안에서도 여러 가지 항목들이 있죠. 그 중에서도 특히나 눈 여겨봐야 할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에 대해서 오늘 소개를 할 거예요.
오늘 포스팅의 키워드인 재무제표!
다들 한 번씩을 들어봤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소개했던 게시물에서 재무제표를 한 번 보여드리긴 했는데요!
오늘은 그렇다면, 재무제표가 무엇을 뜻하는지 한 번 확인해볼게요!
재무제표란?
재무제표의 정의는
재무회계의 과정을 통해 수집, 처리된 정보를 정기적으로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하는 기업의 재무와 성과에 관한 보고서 입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보고에서 가장 핵심적인 보고 수단이죠.
그렇다면 왜 재무제표를 사용할까요?
기업분석에 재무제표를 사용하죠. 그 이유는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등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어 해당 기업이 사업 구조와 현금 흐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재무제표의 종류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가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란 일정 시점에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고서 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유동성, 재무적 탄력성과 수익성,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죠.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자산 = 부채 + 자본이니 이를 토대로 재무제표를 확인하면 좋겠죠?
아래 예시는 현대자동차의 22년 3분기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이를 통해 55 기 3분기말과 지난 제 54기말을 비교했을 때 유동자산은 얼마나 되고, 부채까지 확인해볼 수 있죠.
이와 같은 재무제표 검색방법은 지난 포스팅에서 확인해봐요!
그럼 이 재무상태표로 기업 분석을 어떻게 하냐구요?
기업이 가지고 있는 부채비율은 얼마나 되고, ROE(자기자본 이익률)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부채 없는 기업은 없지만, 부채비율이 감당하지 못하게 큰 기업은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죠.
이는 단순 기업을 알아보는 분석뿐 아니라 투자를 할 때도 확인해야 합니다.
부채비율 : (부채 / 자기자본) X 100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즉 부채비율이 높을 수록 기업의 안정성은 낮아집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해당 년도에 기업이 가진 돈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즉 ROE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낮아집니다.
이를 통해 안정성과 수익성도 확인해볼 수 있겠죠?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지난 번 보여드린 것처럼,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을 확인해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이는 이익 및 손실 등 내용을 기록한 문서이며, 손익계산서를 통해 기업의 이익창출능력, 시장점유율, 기업의 성장 추이 파악을 할 수 있죠.
매출액 | 상품 매출에 대한 수입 금액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세전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순이익 | 매출 - 비용 |
당기순이익 | 세전이익 - 세금 |
손익계산서로 기업 분석을 어떻게 할까요?
매출액이 증가하면 영업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겠죠?
매출액 증가율이 매출총이익 증가율보다 적다면 매출원가가 절감한 것입니다. 또한 영업이익이 증가하면 기업의 수익성이 증가한 것이죠.
이를 통해 현재 기업이 성장하고 있는지 아닌지 척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
Q.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는데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면 무슨 현상인가요?
이는 기업의 영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영업비용을 감당할 정도로 커지지는 못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Q. 영업이익, 영업외수익, 순이익 모두 중요한가요?
영업이익은 마이너스인데 영업외수익을 더해 순이익이 0보다 커지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영업이익, 영업외수익, 순이익 모두 중요합니다!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란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낸 표입니다.
현금흐름표를 이용해 기업의 현금 변동 사항에 대해 확인 가능하고 기업의 성장성과 투자활동도 파악해볼 수 있죠.
현금흐름표에서의 영업활동이란 제품의 생산과 상품의 구입/판매활동, 투자활동이란 자금의 대여나 회수, 유가증권 및 투자자산의 취득과 처분에 관한 거래를 뜻합니다.
또한 재무활동은 부채 및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를 의미하죠.
상기 현대자동차 현금흐름표의 일부처럼 전년 동분기 대비 현금흐름이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영업활동, 재무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정도로 활발한지 알 수 있죠.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증가한다면 성장 중인 기업이며,
투자활동을 하게 되면 당연히 돈이 나가기 때문에 살짝 마이너스여도 무조건 안 좋은 회사는 아니라는 점! 확인해주세요.
현금흐름 | 영업활동 | 투자활동 | 재무활동 |
고성장형 기업 | - | - | + |
성장형 기업 | + | - | + |
성숙형 기업 | + | - | - |
쇠퇴형 기업 | + / - | + | - |
이렇게 재무제표의 종류 일부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취준생 중에서도 비단 투자에 뜻이 없는 분들이더라도
기업분석을 할 때 단순 홈페이지만 확인해보고 자소서/면접에 임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방향성에 대해서 언급을 했을 때
'매출은 전년 대비 얼마나 늘었는데, 영업이익이 더 늘어 결과적으로 적자가 되었다~
이 부분을 확인해보니 OO 기업의 ~ 부분에 투자 or 영업활동을 위한 활동이 있었다~'
과 같이 여러 자료를 짜집기 해서 본인이 기업에 관심이 정말 있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도 있죠.
투자를 원하시는 분이라면 재무제표를 정말 잘 보셔야 하며 (본인 돈이 걸린 일이니까)만약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이라면 추이만 확인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대신 그 추이에 어떤 activity가 있었는지 확인할 것!)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이며,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 뵙겠습니다.
'시사이슈 > 산업·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0) | 2022.12.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