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식 투자를 위해 많이 사용하시는 어플 중 하나인 NH나무 어플에 대한 기능을 이어 말씀드리겠습니다.
본업으로 인해 주식을 계속 보고 있을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원하는 지점에서 알림 설정을 하고 내가 보유한 주식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이때,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놓치기 싫으신 분들을 위해 '시세포착 주문 기능'을 알려 드립니다!
HOME 화면에서 전체메뉴를 클릭 후, 국내주식에서 시세포착주문을 선택해주세요!
그러면 상단 화면에 이렇게 매도감시와 매수감시, 신규편입 및 주문내역이 보이시게 됩니다.
매도감시는 말 그대로, 내가 가지고 있는 종목에서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조건이 수익률 기준 / 목표가 기준/ Trailing 매도를 선택할 수 있어요.
이때 수익률을 기준으로 한다고 치면, 내 잔고 평균단고의 몇%가 된다면 자동으로 매도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문수량을 클릭하면 계산기가 나오게 되며, 내가 가지고 있는 수량을 설정이 가능하므로 부분 또는 전체 매도가 가능하죠.
이 매도 기능을 적용하면 화면에 '감시 중'이라고 뜨게 됩니다.
더 큰 수익을 먹고 싶은데, 핸드폰만 볼 수 없고... 그럴 때 쓰는 시세포착 기능도 있습니다.'Trailing 매도' 입니다.Trailing 매도란 잔고평균단가, 현재가 를 기준으로 주가가 몇% 상승하고, 고점대비 몇% 하락시 주문실행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이게 무슨 말이냐면,갑자기 주식이 올라서 9% 이상이 되었다가 3% 하락이 되었을 때 그 가격으로 주문실행이 됩니다.이는 9-3=6 이라는 계산이 나오게 되는 것이 아니라,9%에서 쭉쭉 올라서 15%까지 올랐다고 합시다. 거기서부터 매도세가 세지면서 3% 이상 빠지게 되면 15-3=12%의 수익률을 먹을 수 있는 것이죠.이는 '팔지말고 가지고 있었어야 했는데...' 라는 아쉬움을 덜어주게 하는 좋은 기능 입니다.
이번엔 매수감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매수감시를 들어가, 포착할 종목을 우측 하단에 + 버튼을 누르면 상기 사진과 같이 나오게 됩니다.
앞서 설명드렸던, 가격기준 / 거래량기준 / Trailing기준 이 뜨는데요!
가격기준으로 예를 들어보면,
현재가 (12/10기준) 한화솔루션이 46,950원인데 단가를 45,500원으로 맞추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몇주를 살 것인지, 설정기간은 얼마나 설정한 것인지 나와있죠.
이때, 자신이 매수하려고 하는 종목의 목표가를 기입하고, 주문 종류를 보통가 또는 시장가로 설정하면 됩니다.
보통가(지정가) : 가장 많이 쓰는 방식으로, 본인이 원하는 가격과 수량을 지정해서 주문하는 방법. 체결이 될 수도 안 될 수도 있음.
시장가 : 상한가 제외하고 무조건, 즉시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에 매매가 성립되도록 하는 주문이죠. 이는 가격 입력은 불가하고, 수량ㅇ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을 하게 되면 마감기간을 최대 30일로 설정할 수 있고, 저장을 하게 된다면 매수 감시에 종목, 목표가, 수량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작버튼을 눌러야 시세포착 기능이 작동하니 이 점 유의하세요!
자동매수를 하게 된다면, 자신이 원하는 가격에 매수가 되지만 주가시장에 찬 바람이 부는 날에는 더 낮은 저점이 형성되고 원하는 것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계속 차트를 확인해보면서 주식 매수매도를 정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는 그런 여유가 없기 때문에 자동매수/매도를 활용하면서도 기능에는 조금 보수적으로 접근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에서 핫한 인플레이션, 꼭 알아야 하나요? (1) | 2023.03.10 |
---|---|
주식 투자를 하려는데 왜 경제를 알아야 하나요? (0) | 2023.03.05 |
NH나무 주식어플 이용법 I 인터넷 검색 없이 테마, 종목 확인법 (0) | 2022.12.09 |
[경제용어] 유상증자란? - 주식 입문을 위한 경제용어 (0) | 2022.10.07 |
NH나무 주식어플 이용법 I 관심종목 추가 (1) | 2022.09.24 |